본문 바로가기

Python4

4. 함수 만들기 함수란? 1. 함수는 코드의 새 덩어리라고도 할 수 있다. 2. 새함수를 새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def function(): # 함수의 정의 print('안녕, 함수!') print('첫줄 실행') function() # 함수의 호출 print('끝줄 실행') 다음 함수와 같이 def 부분을 통해서 function이라는 함수를 지정해주고 function()을 밑에다가 작성하여 실행을 하였을 때 결과가 첫줄실행 안녕,함수! 끝줄 실행 이러한 결과값이 나온다. 그렇다면 print는 어떻게 출력이 된것일까? 여기서 함수의 3번째 정의가 나온다 3. print는 내장되어있는 미리 만들어진 함수이다. 그렇다 print는 이미존재하는 함수라서 def에 따로 함수를 지정할 필요가 없다. 주의할 부분이 있다면.. 2022. 8. 23.
3. 조건문 조건문 특정 조건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구문 구조 if 예약어 : 조건의 시작을 알림 조건으로 참/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조건 : 조건이 끝났다는 걸 표현하는 명령 실행하고자 하는 코드는 탭키를 이용해서 들여 쓴다 boolean연산 and연산 or not 블록의 구조 1. 함꼐 실행 되는 하나의 코드 덩어리 2. 들여쓰기로 블록을 구분을 시킨다 3. 들여쓰기가 어긋나면 오류가 발생한다 4. 블럭 안에 다른 블록이 들어갈 수 있다 5. 내부의 블록은 외부의 블럭에 종속적 6. 파이썬 코드 전체를 하나의 블록으로 볼 수 있다. 블록과 조건식을 예로 사용한 가위바위보게임 코드 실습 scissor = '가위' rock = '바위' paper = '보' win = '이김' lose = '패배.. 2022. 8. 19.
2. 주요 연산자 [산술 연산자] 사칙연산(+,-,*,/)와 제곱(**), 나눈 값의 몫(//), 나눈 값의 나머지(%)를 구하는 것이 있습니다. 당연히 계산방법은 사칙 연산을 사용한다. [비교 연산자] 관계연산자라고 부르며 같다(==), 같지않다(!=), 부등호(,=)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할당 연산자] 변수에 값을 할당과 연산을 동시에 처리 하는 것으로 +=는 값을 더해서 변수에 넣는 것이 됩니다. 여기에는 +=, -=, *=, //=, %= 등이 있습니다. [논리 연산자] and, or, not 이 있으며 이것은 양쪽의 값을 모두 만족하는 조건을 만들때 사용합니다. [비트 연산자] 비트 단위로 연산할때 사용합니다. &(AND), |(OR), ^(XOR), ~ (보수), 등이 있습니다. 2022. 8. 19.
1. 기초의 시작 기본 문법 1. 개발자가 코드위에다가 이게 어느코드인가에 대한 메모를 하기 위해 주석을 남기는데 #을 이용해서 넣는다 2. 코드의 블록을 표허하기 위해 ' : ' 을 사용을 합니다 3. 명령의 블록을 표현하기 위해 들여쓰기를 사용을 합니다 주요 데이터 타입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 중에서 타입의 종류가 몇가지 정도 있다 기본적으로 정수, 실수, Boolean이 주요한 데이터 타입이다.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필요가 없다 하지만 각자 변수의 타입과 아무것도 없는 None에 대해서 구별은 하자 그래야 변수오류날때 오류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2022. 8. 18.